신제주권 6개소 공공자전거 72대 설치
‘관리소홀’ 타 지자체 전철밟을까 우려



자전거 열풍에 제주에도 공공자전거 무료 이용 시설이 도입되지만 제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조건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도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다음달 1일부터 신제주권 6개소에 자전거 스테이션을 설치, 무인으로 대여·반납할 수 있는 공공자전거 사업을 시범운영한다.

[이하 생략]




* 원문은 이곳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kimhandan

자전거 최신소식을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www.aboutbike.net과 연동하여 관리합니다. 홈페이지에 가시면 좀더 많은 자전거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시민단체 녹색교통운동 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

서울시가 지난 4월 내놓은 [서울시 업그레이드 자전거 정책] 에 있던
정책중 하나인 '자전거 버스' 시범운행이 6월 8일 천호대로 어린이대공원 후문 앞 서울 지하철 5호선 아차산역 4번 출구를 출발, 서울시청에 도착하는 12.44㎞ 노선으로 시범 운영되었다.

자전거 전용도로/차로가 아닌 구간을 지나가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사고 없이 마무리 되었다고 하며,
앞으로 노선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하니,
도심으로 출근하는 직장인들은 서울시 홈페이지 (bike.seoul.go.kr)로 들어가서 노선을 확인후 신청할 수 있다.
관련 기사 및 노선확인
http://www.aboutbike.net/research/research_D.php?bid=researchD&qry=read&no=596

[주요 자전거 버스 관련 기사]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all&arcid=0005031714&code=11131400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0608000258
http://www.fnnews.com/view?ra=Sent1201m_View&corp=fnnews&arcid=11060823350985&cDateYear=2011&cDateMonth=06&cDateDay=08
http://www.mdtoday.co.kr/mdtoday/?no=157914
http://www.ytn.co.kr/_ln/0115_201106081726208503

[사진출처 : 헤럴드경제]






블로그 이미지

kimhandan

자전거 최신소식을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www.aboutbike.net과 연동하여 관리합니다. 홈페이지에 가시면 좀더 많은 자전거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시민단체 녹색교통운동 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

‘두바퀴 천국’ 코펜하겐을 가다

코펜하겐의 자전거 인프라와 문화를 보면,
교통정책이 사람과 대중교통 중심으로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처럼 도심에 자동차 진입을 제한하지 않는다면,
코펜하겐 같은 자전거 문화는 만들어낼수 없을 것입니다.
물론, 자동차 진입을 제한하면서도 동시에 대중교통이용 확대를 위한 다양한 대안을
만들어주어야 시민들의 공감을 얻을수 있겠지요..



세계 178개국 중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나라로 손꼽힌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에서는 양복을 입은 회사원들이 자전거를 타고 출근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유모차를 앞에 달고 자전거로 끄는 아기 엄마들도 적잖다. 자전거 전용 신호등에 빨간불이 켜지면 서고, 파란불이 들어오면 다시 쌩쌩 달린다. 시속 20㎞쯤 된다.

[이하 생략]

●“자전거·차·사람 공존하는 교통문화”

녹색 성장을 꿈꾸는 대한민국 서울은 어떤가. 현재 서울의 자전거 교통분담률은 2% 남짓하다. 자동차 중심으로 형성된 도로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든다는 것은 거의 상상하기 어렵다. 성북·노원·강북구와 같은 자치구의 사정은 더욱 열악하다. 자전거 관련 사망사고도 2008년 29명, 2009년 45명으로 증가했다. 임 과장은 “코펜하겐과 사정이 다른 서울에 일률적으로 전용도로를 적용하기는 어렵다.”면서 “자전거와 자동차, 사람이 공존하는 교통문화를 만들어나가는 게 절실하다.”고 말했다.


▲ 코펜하겐 도심을 달리는 자전거족들. 자전거 전용 신호등이 파란색으로 바뀌자마자 질주를 시작할 만큼 안전이 보장돼 있다. 사진출처 : 서울신문


* 원문은 이곳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kimhandan

자전거 최신소식을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www.aboutbike.net과 연동하여 관리합니다. 홈페이지에 가시면 좀더 많은 자전거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시민단체 녹색교통운동 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


서울시 돌연 펜스 제거, 설치 지양…정책 오락가락


최근 서울시가 '2011년 서울시 업그레이드 자전거 정책'을 발표한 가운데 이번 정책이 오히려 이용자의 안전을 위협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서울시의 자전거 정책이 영업자와 자동차 이용자들만의 민원을 고려했을 뿐 정작 자전거 도로 이용자들의 안전을 무시하고 있다고 비판이 나오고 있다.




* 원문은 이곳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kimhandan

자전거 최신소식을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www.aboutbike.net과 연동하여 관리합니다. 홈페이지에 가시면 좀더 많은 자전거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시민단체 녹색교통운동 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


광주시 작년 운천저수지 등 10곳에 전용도로 설치

주변 상황 고려않고 페인트 표시만 곳곳에 장애물

"앞은 대형 장애물에 가로 막히고 바닥은 20㎝가 넘는 턱이 차지하고 있으니 자전거를 타라는 건지 말라는 건지…."

웰빙시대를 맞아 자전거 타기 붐이 확산되고 있지만 광주시내 곳곳의 자전거 전용도로가 주변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마구잡이로 개설돼 운전자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하생략]

사진출처 : 무등일보


* 원문은 이곳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kimhandan

자전거 최신소식을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www.aboutbike.net과 연동하여 관리합니다. 홈페이지에 가시면 좀더 많은 자전거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시민단체 녹색교통운동 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


최근 고유가 시대에 어려운 경제사정과 더불어 각 지자체별로 자전거타기 운동 등을 추진하면서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졌다.

물론 에너지 절약과 개인 건강관리 차원에서 보면 너무나도 바람직한 행동이다.
하지만 자전거 이용자가 많아진 만큼 그에 따른 사고 발생도 많아진 게 사실이며, 자전거 이용자의 도로 역주행 등 교통법규를 준수하지 않아 발생하는 사고가 대부분이다.

[이하 생략]

* 원문은 이곳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kimhandan

자전거 최신소식을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www.aboutbike.net과 연동하여 관리합니다. 홈페이지에 가시면 좀더 많은 자전거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시민단체 녹색교통운동 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

광주시내 자전거 도로가 제 구실을 못하는 구간이 많아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주고 있다. 자전거 도로간에 서로 연계성이 적고 비좁은 도로 여건에다 일부 구간은 적치장과 주차장으로 변해 버렸다는 것이다. 광주시의 자전거 전용도로사업을 재점검하고 다시 한번 추스려야 할 때가 아닌가 한다




* 원문은 이곳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kimhandan

자전거 최신소식을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www.aboutbike.net과 연동하여 관리합니다. 홈페이지에 가시면 좀더 많은 자전거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시민단체 녹색교통운동 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

'피프틴' 자전거 불량 많아, 수리센터는 턱없이 부족… 자전거전용도로도 반쪽 "축제 앞서 인프라 확충을"

* 원문은 이곳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kimhandan

자전거 최신소식을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www.aboutbike.net과 연동하여 관리합니다. 홈페이지에 가시면 좀더 많은 자전거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시민단체 녹색교통운동 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

전거 도로는 자전거 이용을 확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시설 중에 하나이다. 이중에서도 자전거 전용도로와 자전거 전용차로는 자전거가 일정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행이나 멈춤을 최소화하고 연속적인 주행이 되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최근 몇 년 사이 그 시설이 증가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2~3개월간 몇 년간 만들어진 자전거 전용도로가 철거된다는 기사가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잠원로 자전거 전용도로에 차량의 진입등의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했던 경계석을 철거하기로 했고, 대전시는 대덕대로에 설치된 자전거 전용도로를 철거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인천은 연수로 등 4개 구간에 대한 자전거 전용도로를 자전거․ 보행자 겸용도로로 변경하거나 자전거 전용차로로 바꾸기로 하였다.


[자전거 도로의 구분]



[경계석이 철거된 잠원로 자전거 전용도로]

지 않은 예산을 들여 만들어진 자전거 전용도로를 왜 철거하는 것일까?
자전거 도로가 자전거 이용자나 주민들에게 외면 받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자전거 이용수요가 없는 도로에 필요 이상의 시설을 추가하고, 자전거 이용자의 입장이나 주변의 자전거 도로와의 연계성 확보, 도시내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구성 등과 같은 활성화 전략없이 자전거 도로를 마구잡이식으로 설치하다보니 차량 운전자들이나 보행자들에게 자전거도로의 필요성에 대한 설득력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

실제로 대덕대로의 경우 자전거 도로 설치 이후 조사된 자료를 보면 가장 교통량이 많은 5시간동안 약 200여명만이 자전거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주차문제, 교통체증 등 기존 도로에 자전거 도로를 설치함으로써 발생할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이나 주변 상인, 도로 이용자, 주민들 간의 사회적 합의가 부족한 결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철거되거나 문제되는 대부분의 구간에서 생계․․생활형 민원과 교통체증으로 인한 불편에 의한 민원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여 결국은 자전거도로의 철거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 유럽 한 도시의 출근시간 자전거 행렬]


리나라에서 자전거가 교통수단으로 이용되는 교통수단 분담율은 약 1.2%에 불과하다. (네덜란드의 경우 교통수단의 27%는 자전거 이용이다.) 사람들은 자전거 전용도로가 설치되었다고 해서 바로 자전거를 가지고 거리에 나오지 않는다.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는데 짧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다. 유럽의 경우도 20여 년 간 자전거 정책의 문제점을 수정․보완해 나가면서 현재의 이용율까지 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전제에는 자전거 도로 설치 전부터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어 추진하여야 하고 이러한 도로가 설치된 이후에는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한 활성화 대책이 마련되어 이러한 대책들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이번 자전거 전용도로의 철거는 이러한 정부나 지자체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자전거 전문가, 자전거 이용자, 시민(NGO)이 함께 논의하고 해결책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협의체를 구성하고 자전거 이용자와 주민들이 모두 동의할만한 자전거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할 시점이다.


 

 

 



※ 녹색교통운동에서는 자전거 시설에 대한 불편사항이나 문제점등의 제보를 받고 있습니다.
    녹색교통 트위터 @greentransport 를 이용하시거나
    자전거 담당 (김광일, 010-6343-6050, sunhine@chol.com, 070-8260-8609 )에게 
    많은 연락 부탁드립니다. 


블로그 이미지

kimhandan

자전거 최신소식을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www.aboutbike.net과 연동하여 관리합니다. 홈페이지에 가시면 좀더 많은 자전거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시민단체 녹색교통운동 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
자전거 대행진등의 일회성 행사는
진정한 자전거 생활문화 정착을 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기사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전의 자전거 대행진은 일반인 참여가 우선이 되었지만,
지금의 자전거 대행진은 일부 동호인 중심으로 조직되고 운영되며
일반인에 대한 홍보가 매우 부족하게 변화되었습니다.

자전거 대행진을 왜 처음에 시작하게 되었는가,
대구시 사례를 보고 한번더 생각해보아야 할 것입니다.



대구시와 맑고푸른대구21추진협의회 등이 생활형 자전거 문화 정착을 위해 매달 정기적으로 자전거대행진을 갖고 있지만 시민들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는 자전거대행진 행사의 홍보 부족으로 자전거 동호인들만 참가하고 있고 일반 시민들은 이런 행사가 있는지 조차 알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제대로된 자전거도로가 없어 매번 도심 도로를 이용하다보니 교통 혼잡과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시민들과의 마찰까지 빚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이하 생략]




* 원문은 이곳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kimhandan

자전거 최신소식을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www.aboutbike.net과 연동하여 관리합니다. 홈페이지에 가시면 좀더 많은 자전거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시민단체 녹색교통운동 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