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내용은 '자전거 연계교통체계 활성화 방안, 국토해양부, 2010.5'에서 주요 부분만 발췌한 자료 입니다.
자전거 연계교통체계 활성화가 가지는 잠재력
○ 최근 자전거 이용인구가 점차 증가되면서 도시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도시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는 통근, 통학, 쇼핑 등 일상생활과 업무를 지원하는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의미함
○ 영국 교통부(DOT, 1994)에서 강조한 자전거 연계통행의 중요성과 잠재력
○ 도시통근자의 평균 통근통행거리는 약 8~10km에 달하고 있어 평균 3~5km를 이용하는 단거리 교통수단인 자전거만으로는 출퇴근 통행을 완성하기에는 곤란하다. 따라서, 자전거와 보행, 자전거와 버스, 자전거와 철도연계등 자전거와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라 할수 있다.
○ 특히 도시철도가 잘 발달된 수도권에서는 자전거와 대중교통수단을 연계할 경우, 기존의 보행역세권에 비하여 통행권역(Catchment Area)을 약 25배가량 확장시킬수 있음.
[자전거를 이용한 대중교통 이용권역의 확장]
○ 자전거와 대중교통수단의 유기적 연계를 위해 도시철도 및 버스가 비교적 발달한 도시권에서 자전거와 대중교통 연계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을 획기적으로 진작시킬수 있는 정책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녹색교통운동 김광일 (070-8260-8609, sunhine@chol.com), twitter : greentransport ]
* 자전거 홈페이지(www.aboutbike.net) 에서는 자전거 관련 자료,여행기,시설이용기등의 글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관련글을 홈페이지에 직접 올리시거나, 메일, 트위터로 공유하고 싶은 글을 링크하시면
홈페이지에 게제하여 드립니다.
자전거 연계교통체계 활성화가 가지는 잠재력
○ 최근 자전거 이용인구가 점차 증가되면서 도시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도시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는 통근, 통학, 쇼핑 등 일상생활과 업무를 지원하는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의미함
○ 영국 교통부(DOT, 1994)에서 강조한 자전거 연계통행의 중요성과 잠재력
자전거 연계통행(Park and ride, Bike and ride)은 도시통행수단으로서의 자전거를 활성화하는데 매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연계통행의 활성화를 위하여 자전거 주차시설의 확보, 안전하고 편리한 자전거의 접근환경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역이나 대중교통결절지에 적절한 자전거 주차시설을 공급하는 정책은 대중교통을 보완하는데 유효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도시통근자의 평균 통근통행거리는 약 8~10km에 달하고 있어 평균 3~5km를 이용하는 단거리 교통수단인 자전거만으로는 출퇴근 통행을 완성하기에는 곤란하다. 따라서, 자전거와 보행, 자전거와 버스, 자전거와 철도연계등 자전거와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라 할수 있다.
○ 특히 도시철도가 잘 발달된 수도권에서는 자전거와 대중교통수단을 연계할 경우, 기존의 보행역세권에 비하여 통행권역(Catchment Area)을 약 25배가량 확장시킬수 있음.
○ 자전거와 대중교통수단의 유기적 연계를 위해 도시철도 및 버스가 비교적 발달한 도시권에서 자전거와 대중교통 연계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을 획기적으로 진작시킬수 있는 정책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녹색교통운동 김광일 (070-8260-8609, sunhine@chol.com), twitter : greentransport ]
* 자전거 홈페이지(www.aboutbike.net) 에서는 자전거 관련 자료,여행기,시설이용기등의 글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관련글을 홈페이지에 직접 올리시거나, 메일, 트위터로 공유하고 싶은 글을 링크하시면
홈페이지에 게제하여 드립니다.
'자전거 연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용운의 지구환경소식]‘자전거 천국’ 코펜하겐 (0) | 2011.07.26 |
---|---|
자전거 이용에 따른 효과 - 공학적 분석 (0) | 2011.07.19 |
자전거 도로 교차점부 교통안전알리미 시스템 - 한국교통연구원 (0) | 2011.02.17 |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전거 교통정보 제공방안 - 한국교통연구원 (0) | 2011.02.17 |
"느림의 가치" 걷는 길의 확산에 따른 경남의 정책방향 - 경남발전연구원 (0) | 2010.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