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전거 타기전의 점검습관



자전거의 안전점검

안전하고 행복한 자전거 생활을 위해서는 자전거의 원리와 구조의 이해를 통한 꾸준한 사전점검과 수리하는 습관이 꼭 필요합니다. 지금부터 타기전에 꼭 확인해야 할 기본 점검사항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 자전거를 타기전 항상 체크하여야하는 점검순서
① 브레이크 작동 → ② 타이어 공기압 → ③ 자전거 구동축,페달
  → ④ 자전거 핸들손잡이,안장→ ⑤ 자전거 기어

타기전에 곡 확인해야 할 기본 점검사항

자전거를 타기전에 꼭 체크해야 하는 자전거부품이 있습니다. 타기전에 부품고장이 발견된다면 타지말고 자전거 수리점에 반드시 맡겨야 합니다. 아래 내용을 반드시 확인합니다.



① 브레이크가 잘 작동되는지 눈으로 확인하자!
 앞뒤 브레이크를 잘 작동되는지 브레이크 손잡이를 당겨 눈으로 양쪽 브레이크 패다가 균형있게 똑같이 타이어 살쪽으로 잘 움직이고 맞닿아 타이어 멈춤 기능이 잘 작동되는지 눈으로 확인합니다.

② 앞,뒤 타이어를 각각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적당한 공기가 있는지 확인하자!
 타이어안에 공기가 적으면 자전거 주행시 더욱 힘이 듭니다. 타이어 공기가 적당한지 공기압 체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 타이어 공기압 체크방법 : 엄지손가락으로 타이어 표면을 힘것 눌렀을때 그로인해 표면이 살짝 들어가지 않을정도로 단단할때

③ 자전거 구동축,페달이 잘 회전 되는지 확인하자!
 페달이 자유롭게 회전하는지, 기어 크랭크에 체인과 잘 연결이 되었는지를 눈으로 살펴봅니다.

④ 자전거 핸들손잡이,안장의 위치를 확인하자!
 - 핸들바 정중앙에 핸들스템이 위치하는지 눈으로 확인하고, 한쪽으로 치우쳐 있으면 수리점에 가서 핸들바 정가운데 위치로 맞추도록 수리합니다.
 (※ 자전거가 지면바닥에 넘어지면 핸들스템이 핸들바에서 한족으로 치우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장 앞부분이 핸들스템 정가운데 방향으로 있는지, 좌우로 흔들리는지 여부를 확인합니다.

⑤ 자전거 기어단수를 확인하자!
 - 자전거 기어가 높으면 출발할때 페달밟기가 힘듭니다. 타기전에 자전거 기어단수가 높다면 뒤바퀴를 지면에서 들어올려 페달을 돌려 앞뒤기어를 중간단수(앞2단, 뒤4~6단, 21단기준)로 맞춥니다. 


1년마다 점검보수해야 하는것
가. 허브와, BB, 헤드셋의 베아링을 손질하고 유지기름(Grease)을 교체합니다.
나. 브레이크, 변속기 케이블, 타이어를 교환합니다.


2. 자전거를 탈때의 올바른 습관

■ 자전거를 아주 편하게 타기 위한 말 한마디

1. 360도, 주위를 돌아보세요
바른자세로 자전거를 타는것이 원활한 시야를 보장합니다. 자전거를 탈때의 자세를 지나치게 삐짝하게 잡지마세요. 올바른 자세로 탈수록 넓은 시야를 가지게 되며 주위에 있는 것들을 파악할수 있답니다.

2. 주위의 소리를 잘 들으세요
우리의 귀는 여러면에서 매우 귀중한 도움을 줍니다. 자전거를 타기 위해 우리의 청각을 사용해야 합니다. 자전거 탈때 주변 상황과 소리에 대해 부주의하게 만드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착용하지 마세요

3. 자전거 탈때 불편하지 않기 위한 방법들
- 다리나 팔, 머리등 신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나치게 꽉 끼는 옷이나 긴 옷을 입지 마세요
- 자전거 핸들 조작을 불편하게 하는 무거운 짐을 앞에 싣지 마세요
- 핸들을 조작하는 다른 한 손에 너무 길거나 큰 물건을 들고 타지 마세요 (스케치북, 악기, 우산등)

4. 땅이나 자전거에 질질 끌릴수 있는 모든 것은 매우 위험하답니다.
핸드백, 긴 스카프 등

5. 꼭 기억하세요 : 자전거는 빈손으로
항상 빈손으로 두 손을 자유롭게 해야 한답니다. 안전에 직결된 사항임을 명심하세요 -> 휴대폰 금지, 우산 금지


① 3점 조정하기



- 자전거 이용자의 체중을 받쳐주는 곳이 안장, 핸들, 페달입니다.
- 이 3개소가 자전거 이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위치에 있을때 신체적 부담감이 없어 가장 좋은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고, 자전거 주행시 최고의 성능을 발휘할수 있습니다.
- 그 3개소의 위치는 안장(높이, 위치, 각도), 핸들(위치와 높낮이), 페달로 이 3개 점을 연결하여 이등편 역삼각형이 되는 형태입니다.
- 자전거 안장에 앉아 발이 지면에 닿도록 하여 양다리 무릅이 살짝 굽은 상태로 펴졌을때 양발 앞굽치가 지면에 닿으면 내 몸에 맞는 자전거가 됩니다.


② 페달 밟는 습관



- 페달 돌리기는 자전거 운전자가 얻을 수 있는 최대의 에너지원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올바른 위치와 모양이 됐을때, 운전자의 에너지가 최대한 손실이 없이 원하는 만큼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발 위치는 평지에서 다리를 어깨 넓이만큼 벌린다음 뒤꿈치를 살짝 듭니다. 뒤꿈치를 살짝 들경우 발의 앞부분 약 발의 1/3지점으로 이부분을 페달 중간에 놓습니다. (엄지발가락 밑 둥근 뼈-중족 지골 관절-가 있는 부분. 온몸의 무게로 땅을 누른다는 느낌으로 힘을 주면 무릅은 살짝 굽고 뒤꿈치는 자연스럽게 지면에서 뜹니다.)



③ 발모양

- 발모양은 뒤꿈치가 모아지지 않는 자세, 즉, 발 모양이 V 자 모양이 되지 않도록 11자 모양이 되게 합니다.
- 지상에서 걷거나 양쪽 무릅을 서로 스치듯 페달링을 하는 것도 요령입니다.




④ 시선

시선은 진행하는 방향의 최소 5m 전방을 봅니다. 속도에 따라 다르지만 여러가지 변화되는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생각할 수 있는 정도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전방 시야를 볼수 있어야 합니다.




⑤ 자전거의 오른쪽 이용습관

자전거를 타기전 도로의 우측 이용시 자전거가 사고 위험으로부터 소위 보호막 역할을 할 수 있어 자전거의 왼쪽 이용시보다 더 안전합니다.


<자전거의 오른쪽 이용시 자전거가 보호막 역할을 해준다> <자전거의 좌편 이용시 오른쪽의 차량이동에 위험하다>


⑥ 자전거의 올바른 출발, 멈추는법



 출발하는법
가. 양손은 자전거 핸들바를 꼭잡는다. 오른발에 몸체중을 실은채 지면에 밟아선다.
     이때 왼발은 자전거 페달을 지면 가까이 위치시키고 페달위에 올려 놓는다
나. 핸들바를 잡은 양손과 오른발, 몸을 나아가는 방향으로 힘을 주며 민다
다. 나아가는 방향으로 추진력이 생기면 안장에 앉아 주행한다

멈추는 방법
가. 왼쪽브레이크(뒷바퀴 브레이크용) 레버를 당겨 주행속도를 감속시킨다.
나. 자전거가 서서히 멈추어지면, 오른족 브레이크*앞바퀴 브레이크용) 레버를 당기며
     왼쪽 페달에 놓여진 발에 몸의 무게중심을 두며 안정에서 일어선다
다. 멈추는 동시에 오른발을 페달에서 떼며 무게중심을 오른발에 두며 지면을 밟는다.


⑦ 출발전 반드시 후방확인습관

출발전에는 반드시 뒤에서 오는 차량, 보행자를 확인한후 안전하게 출발합니다.




⑧ 브레이크 사용습관

자전거 핸들바에는 왼손과 오른손의 우치에 브레이크가 있습니다. 주행중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를 할 경우 사용방법에 따라 효율을 떨어뜨리거나 안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위치와 정확한 용도에 따른 사용이 필요합니다.

■ 앞, 뒤 브레이크의 기능
- 뒤 브레이크(왼 손) : 속도조절의 역할
- 앞 브레이크(오른손) : 정지시키는 역할
ex) 정지할 경우 뒤 브레이크로 속도를 줄인후 정확한 정지위치에서 앞 브레이크를 잡아 멈춥니다.
※ 브레이크의 위치는 뒤바뀔수 있습니다. 확인후 적용하여야 합니다.

■ 지형별 알맞은 앞, 뒤 브레이크 조작법
        주행조건            평지          내리막         돌발상황 
          앞/뒤            3 : 7            6 : 4            5 : 5 




⑨ 기어 활용법

변속기(Derailleur)는 체인의 위치를 이동 시켜줌으로써 주행조건 변화에 대한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거나 최대의 효율을 얻기 위해 고안된 장치로서 주행자의 안전한 주행과 몸에 무리를 주지 않아 유산소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 변속기의 구조(위치)
변속기 레버/프론트, 리어 딜레일러/체인링, 스프라켓 이라고 하며 차체를 기준으로부터 안쪽 체인링부터 1단 앞기어 0단, 뒤기어 0단으로 부릅니다.

※ 변속기 조절시 다양한 용어의 사용

■ 변속기의 조작



변속기 조작의 원칙
- 페달이 돌아가는 상태에서 부드럽게 조작한다
- 앞, 뒤 기어를 한단씩 차례대로 조작한다. →  뒤기어를 먼저 조작하여 페달에 전해지는 발의 느낌을 부드럽게 한다
- 고단은 고단끼리, 저단은 저단끼리 조작한다. → 체인이 직선인 상태를 유지
- 속도에 맞는 기어조작을 한다.  → 고단으로 조작시 회전력을 높이는 역할, 저단 조작시 속도를 줄이는 역할
- 변속은 항상 필요하기 전에 실행한다(부드러운 조작을 위해서이다.) → 회전력(가속도)유지

■ 주행조건에 맞는 기어조작
기어조작의 기준은 주행자의 지속적인 페달링(RPM)유지 입니다.
→ 페달링 운동의 위치 : 무산소 운동 < 페달링 < 유산소운동
  


■ 속도에 맞는 기어조작의 이유
자전거 주행속도에 따라 기어를 변속유지하여 장거리 주행과 안전한 진행에 도움을 줍니다



Ⅲ. 안전하게 자전거 타기 - 2부는 이곳으로~




블로그 이미지

kimhandan

자전거 최신소식을 알려드리는 블로그입니다. www.aboutbike.net과 연동하여 관리합니다. 홈페이지에 가시면 좀더 많은 자전거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는 시민단체 녹색교통운동 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