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는 계획도시로 자전거 도로 시설이 비교적 잘 정비된 도시이다.
자전거 정책의 초기에 자전거 도로 확장에 대부분 맞춰지는 것이 다른 시의 정책인데 반해,
창원시는 잘 정비된 자전거 도로를 바탕으로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 하기위한 각종 프로그램의 개발, 제도의 정비, 그리고 자전거 이용자들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다음의 창원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방안들은 기 수립한 "창원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 장.단기 종합계획"에 따라 작성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을 자전거 인프라 구축, 제도적 장치마련, 시민 붐 조성 등 세 개의 축으로 나누었다.
2007년~2009년 창원시의 추진계획을 살펴보면, 인프라 구축, 제도적 장치마련, 시민붐 조성분야에서 고루 진행되었음을 알수 있다.
창원시 자전거 정책중에 가장 성공적이라고 평가할만한 정책은 공영자전거 누비자(http://nubija.changwon.go.kr) 운영이다.
2008년 10월 개통된 공영자전거는 중고자전거 수리 및 지원, 동사무소 시민 자전거 등을 거쳐 도입된 사업으로 프랑스 리옹의 공영자전거인 벨리브를 벤치마킹하여 개발 운영된 사업으로 국내 최초로 운영되고 2만9천여명이 가입하여 이용하고 있다.
자전거 정책의 초기에 자전거 도로 확장에 대부분 맞춰지는 것이 다른 시의 정책인데 반해,
창원시는 잘 정비된 자전거 도로를 바탕으로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 하기위한 각종 프로그램의 개발, 제도의 정비, 그리고 자전거 이용자들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비젼 및 목표
다음의 창원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방안들은 기 수립한 "창원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 장.단기 종합계획"에 따라 작성하였으며 그 주요 내용을 자전거 인프라 구축, 제도적 장치마련, 시민 붐 조성 등 세 개의 축으로 나누었다.
단계별 추진계획
2007년~2009년 창원시의 추진계획을 살펴보면, 인프라 구축, 제도적 장치마련, 시민붐 조성분야에서 고루 진행되었음을 알수 있다.
창원시 자전거 정책중에 가장 성공적이라고 평가할만한 정책은 공영자전거 누비자(http://nubija.changwon.go.kr) 운영이다.
2008년 10월 개통된 공영자전거는 중고자전거 수리 및 지원, 동사무소 시민 자전거 등을 거쳐 도입된 사업으로 프랑스 리옹의 공영자전거인 벨리브를 벤치마킹하여 개발 운영된 사업으로 국내 최초로 운영되고 2만9천여명이 가입하여 이용하고 있다.
'지자체 자전거 제도와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시 자전거 정책 (0) | 2011.05.17 |
---|---|
서울특별시 「2011년 서울시 업그레이드 자전거 정책」 (0) | 2011.04.14 |
서울특별시 자전거 정책 리서치 (0) | 2011.03.16 |
2010.11.25 서울시 자전거 예산 2010년 대비 급감, 자전거 이용 활성화는 어렵다 (0) | 2010.11.25 |
`자전거도시` 창원 - 부산발전연구원 (0) | 2010.08.17 |